이런 작은 면들은 clean node를 달아주면 사라진다.
clean 을 하고나서 남아있는 면들 중에서,
큰 덩어리들의 영역이 아닌, 작은 찌꺼기 면들을 없애고 싶다.
connectivity node를 만들어주고, primitive 타입으로 변경해준다.
connectivity : 분리되어 있는 모델링들 마다 class 번호를 부여해 주어, 개별로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각각의 덩어리들에 class가 부여되서 다 다른색을 가진것을 볼 수 있다.
for each _primitive 를 만들고,
Block End > Piece Attribute 를 활성화 시킨뒤, class 를 넣어준다.
Block End > single pass 로 하나씩 덩어리들이 개별적으로 나오는지 확인한다.
bound node 로 각각 덩어리들에 bound 를 만들어준다.
크고 작은영역을 구별하고, 컨트롤 하기 쉽게 만들기 위한 작업이다.
boundbox 의 너비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 measure 노드를 만들어준다.
measure 노드에서 생성된 area 어트리뷰트가 bound box의 너비이다.
각각 박스의 너비가 측정 되었다.
attribute transfer 로, 덩어리들한테 너비값을 넘겨준다.
if문을 사용해서 찌꺼기들을 지운다.
'Houdin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디니 Hotkeys 설정하기 (단축키 설정) (0) | 2022.04.04 |
---|---|
import point VS point cloud open (0) | 2022.03.31 |
기초수학 (0) | 2022.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