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ro Cluster Sim = 대규모 시뮬레이션.
<원리>
* 넓은 영역에서 불을 생성할 영역을 cluster point로 지정하고, point에 pyro가 instance 되서 작동되는 원리이다.
* point에 pyro가 instance 되는 과정을 foreach 를 사용해서 빠르게 셋팅하는 원리이다.
* foreach 에서 셋팅하는것 : 각 piece 마다 volume rasterize 를 해주고, naming 을 (이름_번호)로 바꿔주는 설정을 한다.
* foreach를 통해서 각각 fuel, temperature를 가지고 있는 pyro가 생성되는것이기 때문에, 시뮬레이션도 개별로 돌아가는 원리이다. (gas resize, turblence 등.. 다 제각각 계산되서 다른 shape 이 된다.)
<시뮬레이션 속도>
대규모 시뮬레이션 이기때문에, 아무리 가볍게 셋팅했다고 해도, Cluster Simulation은 무겁고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다.
< cluster node setting >
전체적으로 불을 생성하게 만드는 node 셋팅은 pyro 셋팅과 같다.
< 추가 된 셋팅 >
1 ) cluster points 로 pyro가 instancing 되는 영역을 나눈다.
2 ) foreache로 piece 마다 volume rasterize를 해준다 : 다 다른 불 모양으로 생성된다.
3 ) renaming을 해줌으로써, fuel와 temperature가 갯수만큼 생겨난다.
ex) cd_0, fuel_0 , temperature_0
(참고) renaming 하는 vex function 들 : concat , sprintf , printf
< Simulation Setting >
* Smoke Object > Instancing > Instance Points 에 instancing 될 points 경로를 넣어줘야 한다.
* continuous 체크 ON 해줘야 계속해서 시뮬레이션 진행된다.
'Houdini > Pyro S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rosolver (Sparse) (0) | 2022.09.05 |
---|---|
Legacy PyroFX (0) | 2022.09.05 |
[Pyro Sim] Pyro Bake Volume (0) | 2022.02.01 |
[Pyro_Sim] Sparse pyro FX (0) | 2022.02.01 |